본문 바로가기
삼십대중소인의 이슈

맞벌이 가구 비중 역대 최대 제주 60% 넘어서며 전국 최대 기록 지역별 순위는?

by 삼십대중소인 2024. 6. 18.
728x90
반응형

 

지난해 취업 시장 호조에 맞벌이 가구와 1인 취업 가구 수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형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23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 현황'을 보면 유배우 가구 1268만 가구 중 맞벌이 가구는 611만 5000가구로 전년 대비 26만 8000가구 증가했다.

 

맞벌이 가구 비중은 48.2%로 전년 대비 2.1%포인트(p) 상승했다. 2015년 관련 통계집계 이래 최대치다. 연령별로 맞벌이 가구 비중은 30~39세(58.9%), 50~59세(58.0%), 40~49세(57.9%) 순으로 높았다.

 

맞벌이 가구 중 동거 맞벌이 가구는 530만 2000가구로 전년 대비 17만 8000가구 증가했다. 비중은 86.7%로 1.0%p 하락했다. 동거 맞벌이 가구 중 가구주와 배우자가 동일 산업에 종사하는 가구는 186만 9000가구로 전년 대비 4만 7000가구 증가했다. 맞벌이 가구 내 비중은 35.2%로 전년 대비 0.4%p 하락했다.

 

 

 

산업별로 보면 농업·임업 및 어업(77.6%), 숙박 및 음식점업(67.4%)에서 높았고, 운수 및 창고업(7.6%), 건설업(16.3%)에서 낮았다. 지난해 1인 가구는 738만 8000가구로 전년 대비 16만 4000가구 증가했다. 이 중 취업가구는 467만 5000가구로 전년 대비 12만 가구 늘었다.

 

1인 가구 중 취업 가구 비중은 63.3%로 전년 대비 0.2%p 상승했다. 취업가구 수와 비중 모두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성별로 보면 남자 261만 가구, 여자 206만 5000가구로 전년 대비 각각 6만 가구 증가했다. 성별 취업 가구 비중은 남자는 70.6%로 전년과 동일했다. 여자는 55.9%로 0.4%p 상승했다.

 

 

 

연령별로 보면 1인 취업 가구는 30~39세가 109만 가구, 60세 이상이 106만 6000가구, 15~29세 90만 7000가구 순으로 많았다. 연령별 취업 가구 비중은 30~39세(87.4%), 40~49세(82.7%) 순으로 높았다. 전년 대비 증가 폭은 60세 이상(1.7%p), 50~59세 이상(1.4%p), 40~49세(0.3%p)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 보면 1인 취업 가구는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112만 6000가구, 사무종사자 77만 4000가구, 단순노무종사자 70만 9000가구 순으로 많았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1인 취업 가구 중 임금근로자는 373만 4000가구, 비임금근로자는 94만 1000가구로 나타났다. 종사상 지위별 비중은 임금근로자가 79.9%로 전년 대비 0.7%p 하락했다. 임금근로자 중 임시·일용근로자 비중은 27.6%로 0.4%p 내렸다.

 

 

1인 임금근로자 가구(373만 4000가구)의 임금수준을 보면, 200~300만 원 미만 34.0%, 300~400만 원 미만 24.8%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200만원 미만은 21.1%, 400만 원 이상은 20%로 집계됐다.

 

400만원 이상(2.5%p), 300~400만 원미만순으로1.1%p) 순으로 전년 대비 비중이 높아졌다. 100~200만 원 미만(-2.9%p), 200~300만 원 미만(-1.3%)은 비중이 지난해보다 줄었다.

 

직업별로 보면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는 400만 원 이상에서, 사무종사자 등은 200~300만 원 미만에서, 단순노무종사자는 100만 원 미만에서 비중이 높았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