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기준 한국 1인가구 빈곤율이 절반에 육박한다는 분석결과가 나왔습니다. 전체 인구 빈곤율보다 3배 이상 높은 것인데, 이중 노인·여성 1인가구 빈곤율이 특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서 굉장히 사회적으로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9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22년 빈곤통계연보’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한국 전체 인구의 가처분소득 기준 상대 빈곤율(중위소득 50% 미만인 비율)은 15.3%였습니다. 가처분소득은 개인소득(근로·사업·재산·공적이전소득) 중 세금 및 보험료 등을 제외, 소비 ·저축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소득을 뜻합니다.
상대 빈곤율이 15.3%였다는 것은 2020년 당시 월 소득이 237만4587원(4인가구 기준) 미만인 가구가 이 정도를 차지했다는 얘기로 심각한 수준입니다.
2020년 기준 1인가구의 상대 빈곤율은 전체 가구의 3.1배인 47.2%인 것으로 조사됐되었습니다. 당시 1인가구의 절반 정도는 월 87만8597원 미만의 가처분소득만 갖고 있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같은 1인가구 빈곤율은 그나마 2016년(54.0%)보다 완화한 것입니다. 전체가구보다 높은 1인가구 빈곤율은 65세 이상 노인과 여성들이 주도한 것으로 보여서 더욱 문제가 됩니다. 2020년 기준 독거노인 빈곤율은 72.1%였고, 여성 1인가구 빈곤율은 55.7%로 남성(34.5%)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독거노인에 이어 1인가구의 연령대별 빈곤율은 중년(50∼64세) 38.7%, 청년(19∼34세) 20.2%, 장년(35∼49세) 19.5% 등의 순으로 높았습니다. 전체 가구 중 1인가구 비중은 해마다 증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05년 전체가구의 20% 수준이었던 1인가구는 2021년 716만6000가구로 전체의 33.4%를 차지했습니다.
이 빈곤율 조사에서 우리가 가장 경각심을 가져야 할 것은 바로, 머지않아 다가올 고령화 사회와 1인 가구가 합쳐지고, 여기에 출산율 저하가 더해지는 것은 국가 존폐까지 위협할 수 있는 엄청난 사회적 문제라는 점 때문이으로, 지금부터 더 늦기 전에 이런 사안에 대해서 심도 있는 정책이 나와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삼십대중소인의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남 대치동 학원가 마약음료 메가 ADHD 총책 중국과 관련? (0) | 2023.04.09 |
---|---|
회계 자료 미보고 52개 노조 과태료 (0) | 2023.04.09 |
부모가 스마트폰으로 비대면 자녀 계좌 개설 가능 (0) | 2023.04.09 |
LCK 스프링 결승전 젠지가 T1 3:1로 꺾고 연속 우승 달성 (0) | 2023.04.09 |
미 CIA 한국 국가안보실 불법 감청 (1) | 2023.04.09 |
댓글